* 본 줄거리는 영화를 실제로 즐기려는 분들을 위해 스포일러를 포함하지 않고, 영화 후반부의 내용을 생략하였습니다.
파묘 소개
영화 파묘는 오컬트 장르를 주로 다루어 온 장재헌 감독의 작품으로 한 집안의 묘에 얽힌 이상한 일을 풀어가려는 풍수사, 장의사, 무당, 법사의 이야기입니다.
감독 : 장재헌
풍수사 : 김상덕 (최민식)
무당 : 이화림 (김고은)
장의사 : 고영근 (유해진)
법사 : 윤봉길 (이도현)
줄거리
로스앤젤레스에서 의뢰인(지용)을 만나고 있는 화림은 의뢰인 집안의 장남들이 모두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안좋은 일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고 묫바람이 들었다고 한다. 아마 돌아가신 의뢰인의 조부가 불편할 것 이라고 말하며 다른사람들과 함께 한국에 있는 조부의 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다. 화림은 평소 알고 지내던 풍수사 상덕과 장의사 영근에게 연락해 의뢰받은 일은 도와줄 것을 요청한다.
화림의 요청으로 상덕과 영근은 함께 의뢰받은 묫자리에 가게된다. 그곳은 산꼭대기에 위치한 곳으로 묘비에는 이름이 없었고 주변은 안개가 끼어 있으며 여우가 상당히 많이 보인다. 여기에서 상덕은 당시 묘를 쓰게 된 사연에 대해 들어보며 의아해 한다. 과거 어떤 스님에게 좋은 묫자리로 소개받았다고 하지만 묫자리와 여우는 상극의 조합이기 때문이다. 묘를 잘못 건드리면 건드리는 사람들에게도 그 화가 미칠것이라고 말하며 이곳이 최악의 묫자리라고 생각한 상덕이 의뢰를 거부한다.
의뢰인이 거액의 사례금을 지불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화림이 상덕의 뜻을 돌려보려 하지만 상덕은 뜻을 굽히지 않는다. 돌아와 모두모여 담소를 나누는 자리에서 상덕과 의뢰인은 자녀들의 이야기를 하게된다. 상덕은 자신의 딸이 좋은 대학을 나와 외국에서 일하고 있으며 곧 결혼을 할것 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의뢰인은 자신의 어린 아들이 여러번의 유산끝에 어렵게 얻은 아이라는 이야기를 하게 된다. 의뢰인이 생명이 위태로운 자신의 아들을 언급하며 일을 맡아줄 것을 간청하고 화림은 화를 면하기 위해 이장과 굿(대살굿)을 동시에 해보자는 이야기를 한다. 의뢰인과 화림의 이야기를 들은 상덕은 마지못해 이를 수락한다.
마침내 이장날이 되고 인부들이 모두 모인 가운데 화림과 봉길이 굿을 시작함과 동시에 인부들도 땅을 파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고 인부들이 관을 발견하자 영근이 관을 확인해 보는데 붉은 천 아래로 보이는 관은 왕가에서만 쓰던 향나무 관이었다. 관을 꺼내 조심히 운구차에 옮기고는 염을 하지말고 화장을 진행해 달라는 의뢰인의 부탁으로 염을 하지 않은채 화장터로 이동한다.
갑자기 날씨가 흐려지더니 폭우가 내리기 시작하고 운구차를 잠시 멈추자 뒤따라 오던 모둔 차들이 따라 멈춘다. 상덕은 의뢰인의 차로 다가가서 비가 오는날에 화장을 하면 의뢰인이 좋은곳으로 갈 수 없다며 미신이라고 생각할 수 도 있겠지만 화장을 잠시 미루자고 말한다. 의뢰인이 주저하자 상덕은 좋은곳을 미리 알아뒀다며 고인은 잠시 근처 병원의 영안실에 맡겨두면 된다고 의뢰인을 안심시킨다. 영안실에 관을 무사히 옮긴 상덕과 영근은 영안실을 나온다.
상덕은 영안실을 나와 묘지로 가던길에 본 보국사라는 절로 이동한다. 보국사에 도착한 상덕은 절의 스님과 인사한 뒤 근처 산꼭대기의 무덤에 대해 묻는다. 보국사의 스님은 산꼭대기의 절이 옛날 소문이 무성한 묘였다고 한다. 조선최고 갑부의 무덤 혹은 왕릉이라는 이야기도 있어 도굴꾼들이 틈만 나면 보물을 노리고 도굴하려 했던 무덤이지만 아무도 도굴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전해 주었다.
한편 영안실의 관리소장은 상덕과 영근에게 인계받은 관을 열어보려 하고 있다. 관이 거의 열림때쯤 화림과 봉길이 도착하고 관리소장을 막으려 하지만 결국 관은 열리고 만다. 관이 열린순간 안에서 무언가 나와 화림을 관통하여 빠져나가고 화림은 그 순간 코피를 흘리며 정신을 잃는다. 관을 열다가 들킨 관리소장은 도망을 친다.
(후반 생략)
파묘 쿠키영상
영화 관람의 또다른 재미인 쿠키 영상을 위해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완전히 끝날때까지 기다리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영화 파묘는 쿠키영상이 없는점 참고해 주세요.